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심리학22

[교육심리]프로이드의 성격구조와 심리성 발달을 알아보자. 지크문트 프로이트(S. Freud 유대인 장남으로, 어머니와의 각별한 유대관계가 있다. 프로이트의 이론은 많은 심리학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심리성적 발달을 연구하였으며, 그의 이론을 살펴보자. 1) 성격 구조 프로이트는 성격 구조를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누구나 이 세 가지 구조를 가졌지만, 이들의 역할과 균형 조절에 따라 성격특성은 달라진다. 성격 구조에서 출생 직후 등장하는 개념이 원초아이다. 출생 직후에는 원초아만이 존재하며, 이에 지배받는다. 이것은 선천적이고, 본능적이라는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 원초아는 무의식에 의해 가능하여 가장 기본적인 본능에 충실한 것이 역할이다. 프로이트는 원초아의 역할이 성격의 엔진 역할.. 2022. 8. 12.
[교육심리]조의 딜레마/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를 알아보자 조의 아버지 딜레마에 대하여 콜버그와 그 동료들은 피실험자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인간의 도덕 발달단계를 3수준의 6단계로 나누었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따라 그가 제시한 대표적인 딜레마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인즈 딜레마'와 '조의 아버지 딜레마' 두 가지가 있는데, 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조의 아버지 딜레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조는 캠프에 가기를 원하는 14살 소년이다. 그의 아버지는 조가 스스로 돈을 모으면, 캠프에 가는 것을 허락해주기로 약속하였다. 그래서 조는 돈을 벌기 위해 곰곰이 생각한 끝에 신문 배달을 열심히 했다. 신문 배달을 하며 캠프에 가기 위한 비용을 모은 후 혹시 모를 여유분까지 더 모아 100달러를 벌었다. 그런데 캠프 출발하기 전에, 아버지의 마음이 변했다. 아버지의.. 2022. 7. 5.
[교육심리] 하인즈 딜레마/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를 알아보자 하인즈 딜레마에 대하여 콜버그는 실험을 통해 인간의 도덕 발달 단계를 3수준으로 6단계로 설명하였다. 이 같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다른 학자들로부터 약간의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인지적 관점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이론가라고 할 수 있다. 콜버그가 제시한 '하인즈 딜레마'는 다음과 같다. 콜버그가 제시한 하인즈 딜레마를 보며 여러 가지 의견이 나올 수 있다. 하인즈의 관점에서 자신이라면 어떻게 할지와 그 이유를 제시해보고, 이를 통해 개인 도덕성 발달이 몇 단계인지 측정할 수 있다. 약을 훔친다면, 그것이 정당한 것인지, 왜 정당한 것인지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하인즈 딜레마를 읽은 나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물건을 훔치는 것과 죽음을 막지 않고 막을 수 있음에도 내버려 두는 것 중에 무엇.. 2022. 7. 4.
[교육심리] 스피어만과 써스톤, 길포드이 지능이론을 알아보자( 스피어만 2요인/써스톤의 7개 지능/ 길포드의 3차원 지능) * 스피어만의 2 요인 모형. 찰스 스피어만(Charles Spearman)은 요인분석을 통해, 지능 구조를 분석했다. 통계기법 중의 하나인 요인분석은 변인의 구조를 밝히는 방법으로 이를 이용해 지능의 구조를 두 가지로 분석했고 2 요인 모형이나 g 요인 설이라고 이름 붙였다. 2 요인설의 지능구조모형은 단일 구조의 하나의 일반요인을 g요인이라고 보고 여러 개의 세트로 된 특수요인이 이와 함께 있다고 파악하였다. 일반요인인 g요인의 경우, 인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으로 작용하며 지능구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S요인이라 하는 특수 요인의 경우 특정 과제를 해결하는 선별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적용되며 s요인간의 상관관계가 없다. 과거에는 이 같은 세밀한 통계적 분석이 불가능하여 스피어만의 지능 구.. 2022. 6. 21.